전체 글77 초음파 치료 vs 고주파 온열 치료 안녕하세요. 경제치료사입니다.오늘은 초음파 치료와 고주파 치료에 대해 얘기해볼게요. 병원에서 받는 열치료 중 대표적인 것 두 가지1. 초음파 치료2. 고주파 치료 두 열 치료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보도록 할게요. 공통점으로 둘 다 '심부' 열치료입니다. 초음파는 1~3cm, 고주파는 최대 10cm의 깊게몸에 열을 발생시킵니다.보통 열치료는 '순환'을 위해 합니다. 만일 염증이 생겼다면우리 조직 내부에서 혈액이 빨리 돌아야그 염증이 빨리 빠지기 때문에순환을 끌어 올리는 것은 되게 중요합니다. 그 염증이 가라 앉아야 통증이 많이 줄기 때문이죠. 즉, 초음파, 고주파 치료의 목적은염증과 통증을 줄이기 위해서 혈류의 순환을 증진시키는 것이죠.또 다른 목적은 근육을 이완하는데 있습니다. 근육이 많이 굳어 있.. 2025. 2. 25. 경제란 무엇일까? (1) 안녕하세요. 경제치료사입니다.오늘은 경제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도록 할게요. 사람은 먹고 자고 많은 서비스를 받는다.이와 같은 사람의 욕망을 채워주는 것을 '재화'라고 한다. 재화에는 물건과 같은 형태도 있고서비스와 같이 눈에 보이지 않는 형태도 있다. 재화를 얻기 위해서는 돈이 필요하며돈을 얻기 위해서는 재화를 팔아야 한다. 사진과 같은 재화를 얻기 위해, 돈을 얻기 위해여러 활동들이 일어납니다. 이 지점에서 투자, 고용, 생산, 소비, 판매, 구매 등의 여러 활동들이 일어나죠. 그 활동들을 묶어 '경제'라는 개념이 생기게 됩니다. 즉, 경제란 재화를 얻기 위해 벌이는 여러 활동을 묶은 총칭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2025. 2. 23. 통증의 변전소? (7) 안녕하세요. 경제치료사입니다.오늘은 통증의 변전소를 알아보려고 합니다. 통증의 정보들은 후근신경절을 통해 척수로 들어갑니다. 척수의 사진을 보겠습니다. 척수는안쪽 둥근 쪽을 회백질이라고 부르며바깥면 쪽을 백질이라고 부릅니다. 회백질은위치적으로 전각, 측각, 후각으로 나눌 수 있으며 통증을 전달하는 신경은 후각으로 들어가고 그 곳에서 침해수용 뉴론과 시냅스(접촉) 후 척수의 가운데를 지나 전측삭을 통해 뇌로 정보를 전달합니다. 척수 후각에서신경에서 다음 신경으로의 전달은 시냅스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시냅스는신경(일차 구심성 신경)과 신경(침해수용뉴론)이 맞닿는 것이 아니라 공간 사이로 무엇인가를 전달하는 것입니다. 그 무엇은 전기적인 신호가 아니라 신경전달물질입니다. 보통 신경의 말단에서 글루타민산, .. 2025. 2. 23. 경제. 왜 중요할까? 안녕하세요. 경제치료사입니다.오늘은 경제 이야기를 해볼까합니다. 밑에 나오는 인용구는 제가 좋아하는 말 중에 하나입니다.경제를 알면 세상을 꿰뚫어보는 안목이 생긴다. 처음 경제에 대해 공부를 했을 때 상당히 막막하더라구요.도대체 무엇을 공부해야 하는지 정보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다른 사람들이 다 하는한국 주식, 미국 주식, 비트 코인 등등적은 돈으로 시작했습니다. 그게 공부인 줄 알았던거죠.누가 좋다더라 카더라...사실상 투자가 아닌 투기를 했습니다. 돈을 벌때도 있었고 크게 잃은 적도 있습니다. 그 때에 투기를 반복적으로 하던 중 한 가지 중요한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결국 아무것도 남는게 없다.머리에. 내가 투자를 어떤 성향으로 하는지,이 종목에는 왜 투자를 하는지,이 회사는 어떤 일을 하며 중요.. 2025. 2. 22. 통증의 중계기지? (6) 안녕하세요. 경제치료사입니다.오늘은 통증의 중계기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통증을 전달하는 신경은 한 줄의 선이 아닙니다.통증을 느끼는 곳도 여러 군데이죠. 이 통증 신호들즉, 전기 신호들은 어떠한 지점으로 모이게 되어있어요. 바로, 통증의 중계기지인 후근신경절(DRG) 입니다. DRG = dorsal root ganglion 사진도 영어 풀이도 엄청 복잡해 보입니다.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뉴런이라고 불리는 세포체가 있습니다.통증이나 촉각을 전달하는 신경전달물질을 생성, 저장하는 세포체가 많이 모은 곳이 후근신경절입니다. 즉, 세포체의 집합체 = 후근신경절 인거죠. 그러한 후근신경절은통증을 정상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작용을 합니다. 반면에 신경이 손상이 되면,특유한 신경 전달물질을 만들게 되고신.. 2025. 2. 22. 통증을 전달하는 건? (5) 안녕하세요. 경제 치료사입니다.오늘은 통증을 전달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통증을 수용체에서 받아들였다면 척수로 전달을 해줘야겠죠? 그 역할을 하는 것은 바로... 신경 우리 몸의 통증을 전달하는 건 '신경'입니다. 이 신경은 우리 몸의 전선과 같은데요. 전선과 같은 신경이 통증을 척수로 전달한답니다. 통증을 전달하는 전선은 두 종류가 있습니다. 1. Aδ 섬유 2. C 섬유 Aδ 섬유의 특징은유수성이며 날카로운 통증을 전달합니다. C 섬유의 특징은무수성이며 둔한 통증을 전달합니다. Aδ 섬유는 급성 통증을 전해야 하여 빨리 전해져야 합니다.그래서 말이집이라고 불리는 코일에 싸여 있는 매우 두꺼운 신경입니다. 말이집이 있어 도약 전도가 가능하여전기 신호를 빠르게 전달합니다. C 섬유는.. 2025. 2. 21. 이전 1 ··· 9 10 11 12 13 다음